키르기스스탄의 부정선거에 대해 알아보자. 키르기즈스탄의 부정선거
키르기스스탄에서는 부정선거가 어떻게 이루어졌고, 그 결과 재선거는 어떤식으로 진행되었는지 알아보자.
먼저 나무위키 부정선거 문서에 있는 간략한 개요부터 보자.
2020년 키르기스스탄 총선 - 부정선거 의혹으로 대규모 시위가 일어나 소론바이 젠베코프 대통령이 사임했다. 키르기스스탄 정부는 선거를 무효로 했으며, 샤일다베코바 선관위원장은 시위대의 주장대로 이번 선거운동 기간 및 투표 과정에서 대규모 선거법 위반이 있었음을 인정했다. 2021년 11월 재선거를 실시했다. 라고 간단하게 나와있다.
출처 : https://namu.wiki/w/%EB%B6%80%EC%A0%95%EC%84%A0%EA%B1%B0
부정선거
부정선거 ( 不 正 選 擧 , Election Fraud)는 부정한 방법으로 선거 를 치르는 행위를 말한다. 민
namu.wiki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 과연 얼마나 대규모의 선거법 위반이 있었는지. 무슨 문제가 있었길래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고 대통령이 끌어내려지고 정권이 교체되었는지 알아보자.
먼저, 2020년 10월 4일 키르기스스탄 에서 의회 선거가 실시되었다. 결과는 정부 지지 정당이 과반수 의석을 차지했다.
키르기스스탄의 의회 선거제도는 이러하다.
최고회의 의 120석은 단일 전국 선거구에서 비례대표 제로 선출된다. 의석을 차지하려면 정당은 투표수의 7%라는 국가 선거 기준을 통과해야 하며 7개 지역 각각에서 최소 0.7%의 득표율을 받아야 합니다. 어떤 정당도 65석 이상을 보유할 수 없다. 정당 명단에는 각 성별에서 최소 30%의 후보가 있어야 하며, 4명의 후보는 다른 성별이어야 한다. 각 명단에는 또한 최소 15%의 후보가 소수 민족 출신이어야 하고, 15%가 35세 미만이어야 하며, 최소 2명의 장애인 후보가 있어야 한다.
이것만 봐도 우리나라와는 상당히 다른 방식으로 의회가 선출됨을 알 수 있다.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2020_Kyrgyz_parliamentary_election
2020 Kyrgyz parliamentary election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2020 Kyrgyz parliamentary electionAll 120 seats in the Supreme Council61 seats needed for a majorityTurnout56.50% This lists parties that won seats. See the complete results below. Parliamentary elections were held in
en.wikipedia.org
그렇다면 대규모의 시위가 촉발된 부정선거의 내용은 무엇이었을까? 도대체 무슨 부정이 있었던 것일까?
부정 선거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투표 결과 조작
- 중복 투표 : 특정 유권자들이 여러 차례 투표를 했다는 보고가 있었습니다. 이는 투표소 간 명부 확인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가능해졌습니다.
- 유령 유권자: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사람들의 이름으로 투표가 이루어진 사례도 의심받았습니다.
- 투표함 조작: 일부 지역에서 투표가 끝난 후 투표함에 추가로 표를 넣거나 특정 후보에 유리한 방식으로 표를 교체했다는 의혹이 있었습니다.
2. 개표 과정의 불투명성
- 감시 단체 배제: 독립적인 선거 감시 단체들이 개표 과정을 관찰하는 데 제한을 받거나 접근이 차단된 경우가 있었습니다.
- 결과 발표의 지연: 개표 결과가 비정상적으로 지연되면서 조작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되었습니다.
- 전자 투표 시스템 해킹 의혹: 일부에서는 전자 개표 시스템이 해킹되어 특정 정당의 표가 과장되었다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3. 특정 정당에 유리한 조치
- 정당 간 불균형적인 지원: 정부 기관이나 지방 자치 단체가 특정 정당에 유리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자원을 동원했다는 증언이 있었습니다.
- 표의 무효화: 특정 후보나 정당에 대한 표를 부적합한 표로 처리하는 방식으로 개표 결과를 조작했다는 의혹도 제기되었습니다.
4. 증거 자료
- 영상 및 사진 자료: 일부 감시 단체와 언론에서는 투표소에서 불법 행위가 이루어지는 장면을 촬영하거나 기록한 사례를 공개했습니다.
- 증언: 투표소에서 일했던 직원들이 개표 과정에서 강압적으로 특정 정당에 유리한 지시를 받았다고 증언한 사례도 있습니다.
이러한 의혹과 문제점은 국제 사회와 국내 시민들 사이에서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대규모 시위로 이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의혹 중 일부는 입증되지 않았거나, 명확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이렇듯 단순히 선거의 부정 의혹만으로도 대규모의 시위가 발생했으며 정권이 교체되었다.
그리고 새로 선출된 키르기스스탄 대통령은 2024년 12월 3일 비상계엄이 있었던 당시 대한민국을 방문 중이었다.
개인적으로 ... 우리나라에서 유혈사태는 일어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天安門 天安门 法輪功 李洪志 Free Tibet 劉曉波
2025년 1월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선거에 대한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의혹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키르기스스탄의 부정선거에 대해 알아봤다.
시위의 사건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시위를 통제하기 위해 군대가 배치되었다. / 시위자가 Jeenbekov의 초상화를 발로 차는 모습
비슈케크 중심가에서 불타는 차 / 시위대가 의회 건물에 난입하였다.
분노한 시위자들이 모여 의회 건물에 임시 모닥불을 피웠다. / 의회 건물 일부는 시위대에 의해 불타버렸다.